오픈소스데이터베이스 (3) 썸네일형 리스트형 AGI 시대를 위해 탄생한 EDB Postgres AI 최근 기업들은 데이터 관리와 활용 과정에서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운영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웨어하우스라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데이터를 관리했지만, 빅데이터와 AI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 레이크, AI 솔루션 등 다양한 시스템을 추가로 도입하게 되면서 데이터 기술 스택이 복잡해졌습니다. 이러한 복잡성은 관리 비용의 증가와 시스템 간의 연동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또한, 기업 내 여러 부서나 시스템이 각자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사일로' 현상은 데이터의 단절을 초래했습니다. 이는 통합적인 데이터 분석을 어렵게 만들어 기업 전체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들은 핵심 운영 데이터와 AI/분석 시스템을 통합하여 데이터로부터 최대한.. Azure Database for PostgreSQL 성능 개선 팁 - 커넥션 풀링 사용하기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2.11* 오픈 소스를 Azure에서 잘 활용하는 것, 참으로 중요한 일이죠. 관련해 Azure Database for PostgreSQL 성능 개선 팁을 하나 소개합니다. 서버 자원 측면에서 볼 때 PostgreSQL의 커넥션 맺기는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입니다. 새로운 커넥션 연결을 위해 메모리 할당이 필요하기 때문인데요, 이런 이유로 트랜잭션 처리가 잦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연결 지연(latency)과 데이터베이스 쓰루풋 성능 저하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곧 사용자가 느끼는 애플리케이션 체감 성능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지죠.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트랜잭션 처리가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커넥션 풀링(Connection Poolin..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를 Azure에서 쓰는 이유! - PostgreSQL, MySQL and MariaDB on Azure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의 성장세가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때 상용 솔루션의 대안으로 여겨지던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는 이제 주류의 무대에 당당히 올라섰습니다. 가트너에 따르면 2022년까지 신규 개발 애플리케이션 70% 이상이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전망이며, 상용 데이터베이스 기반 업무의 50%가 오픈 소스 환경으로 이관될 전망입니다. 실제로 DB-Engine 랭킹 사이트를 보면 상위권에 MySQL, PostgreSQL, MariaDB가 이름을 올리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 중요한 트렌드는 성장세입니다. 현재 시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상용 솔루션인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지만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는 지속 성장 곡선을 보입니다.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 운영의 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