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플레이스 (214) 썸네일형 리스트형 레드햇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 ISV와 고객 모두에게 이득인 이유는? 레드햇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스트럭처가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소프트웨어 업체의 수익성 개선에 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기술적으로는 오픈 소스 기술로 구성해 인프라 스택을 사전에 최적화한 것이다 보니 특정 업체에 종속될 걱정이 없다는 점도 애정 포인트입니다. 레드햇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스트럭처(Red Hat Hyperconverged Infrastructure)와 같은 범주에 속하는 솔루션을 시장에서는 HCI(Hyperconverged infrastructure)라고 부르죠. HCI 시장은 전망이 밝은데요, 수요가 있어서 그렇겠죠? IDC에 따르면 연평균 성장률이 26.6%나 됩니다. 이렇게 분위기 좋은 시장에 레드햇 역시 중요 플레이어로 참여하고 있는데요, 레드.. AWS, Azure, GCP 등 공용 클라우드에서 가장 많이 쓰는 리눅스는? 당연히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부동의 1위! 공용 클라우드 환경에서 리눅스는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엔터프라이즈 운영체제입니다. 기업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리눅스가 미션 크리티컬 쪽으로 영역을 확장하던 속도와 비교해 볼 때 클라우드 부문에서의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는 속도는 놀라울 정도입니다. 아마존 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GCP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는 이런 시장의 반응에 발맞춰 다양한 리눅스 배포본을 선택지로 제시하고 있죠. 그렇다면 공용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리눅스는 무엇일까요? 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입니다. 2017년 7월 흥미로운 설문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북미와 유럽 지역 기업에서 근무하는 500명의 기업의 IT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인데요, 주제는 바로 공용 클라우드 환경에서 어떤 배포본을 쓰는지에.. 동남아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Grab' 레드햇의 IT 운영 자동화 솔루션으로 성장 가속 페달 밟았다! 그랩(Grab)은 동남아 시장의 우버로 통하는 지역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기업입니다. 동남아 지역 7개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랩의 성장 속도는 놀랍습니다. 최근 3년 사이 창업 초기와 비교해 300배 이상 사업 규모가 커졌습니다. 서비스 범위도 차량 공유를 넘어 간편 결제까지 확대되었습니다. 그 결과 현재 앱 다운로드 회수는 6천만이 넘고, 매일 350만 건의 차량 공유 예약이 이루어지는 대형 서비스 기업이 되었습니다. 그랩처럼 짧은 기간에 슈퍼 스타가 된 기업이 겪는 성장통이 있습니다. 사업 기반인 IT 환경이 매우 복잡해지는 것입니다. IT 환경이 복잡해지면 시장과 고객이 요구하는 새로운 기능을 제때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하다 자칫 장애라도 발생하면 그랩처럼 온라인 기반 서비.. 레드햇이 만든 다큐멘터리 'Road to A.I' ~ 오픈 소스 의 역사가 준 교훈을 '자율 주행 자동차' 시대에 되새기다! 레드햇은 오픈 소스가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일반인과 기술인의 시각에서 균형 있게 소개하는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이중 최근 공개한 'Road to A.I'가 영화제 3개에서 상영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레드햇은 어떤 메시지를 대중에게 전하기 위해 다큐멘터리 제작에 뛰어들었을까요? 오픈 소스 ~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원동력 Road to A.I는 자율 주행 자동차와 인공 지능을 다루는 기술 다큐멘터리입니다. 업계 주요 인물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데요, 이 영상에는 매우 심오한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오픈 소스가 세상을 더 이로운 쪽으로 바꾸는 원동력이란 메시지입니다. 자율 주행 자동차에 관한 관심이 뭐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죠. 당장 내일이라도 도로 위를.. Red Hat + Microsoft: 적과의 동침 or 환상의 듀오? 파트너십 역사 되짚어 보기 2000년대만 해도 서로 반대 진영이라 여기던 업체들이 2010년대가 되면서 서로 꼭 필요한 존재가 되었다면? 반전 드라마 이야기가 아닙니다. 오픈 소스 진영을 이끄는 레드햇(Red Hat)과 상용 소프트웨어 진영의 상징 중 하나였던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이야기입니다. 2편의 포스팅으로 레드햇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어떻게 단짝이 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본 포스팅은 Command_Line Heroes에 올라온 팟캐스트의 내용을 정리한 레드햇 블로그를 참조로 작성한 것입니다. 2015년 11월 역사적 파트너십 체결 ~ 클라우드가 맺어준 인연 레드햇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은 2015년 11월입니다. 당시 양사는 레드햇 솔루션을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에 제공하.. 리눅스가 곧 컨테이너라면? Docker는 무엇인가? 도커(Docker)는 유명 오픈 소스 프로젝트입니다. 리눅스 상에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 배포를 자동화하기 위해 2013년부터 추진되었는데, 그 인기가 상당합니다. 몇 년 만에 도커 깃허브(GitHub)를 기준으로 보면 개발에 이바지한 이들의 수가 1,600명에 이르고, 깃허브 별을 4만 1,000개나 받았습니다. 앞서 포스팅에서 리눅스가 곧 컨테이너라고 말했는데, 그렇다면 도커는 무엇일까요? 도커가 하는 주된 일은 리눅스 커널 네임스페이스, 보안 기능, cgroups, 계층화된 패키징 포맷 등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도커 컨테이너 엔진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도커 덕에 개발자는 조건이 다른 여러 머신 환경에 일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도커의 개념을 짚고 넘.. 이전 1 ··· 24 25 26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