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프라이즈DB (2) 썸네일형 리스트형 MySQL 고가용성 & 복원력 보장을 위한 참조 아키텍처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환경에서 시대가 아무리 바뀌어도 변치 않는 것이 있습니다. 중요 데이터베이스의 무중단 운영의 중요성입니다. 이 요구는 사실 디지털 전환 시대가 되면서 더 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데이터 자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이 영향을 주지 않았나 싶습니다. 관련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MySQL 데이터베이스의 무중단 운영을 위한 참조 아키텍처를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고가용성과 복원력 보장의 의미 참조 아키텍처를 살펴보기에 앞서 고가용성의 개념을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고가용성은 시스템 장애 시에도 지속적인 서비스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보통 서비스 가동률(uptime)로 표현되며, 보통 99.999%(연간 다운타임 5분 이내)를 목표로 합.. Kubernetes용 EDB Postgres: 마이크로서비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을 위한 최적의 데이터베이스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환경이 바뀌면서 데이터베이스 배포 옵션도 다양해 지고 있습니다. 관련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련 개발을 할 때 쿠버네티스 환경에 데이터베이스를 배포하는 옵션으로 많은 기업이 고려하고 있는 Kubernetes용 EDB Postgres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배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놀리식에서 애자일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대부분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전통적인 모노리식(Monolithic) 구조에서는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가 하나의 큰 시스템으로 묶여(tightly-coupled)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던 것이 마이크로서비스와 클라우드 네이티브가 등장하며 배포 방식에 유연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