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ible (5) 썸네일형 리스트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간편한 방법 최근 Red Hat Ansible 자동화 플랫폼 2.3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여러 기능이 개선되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중 활용 범위가 넓어진 CaC(Configuration as Code)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aC에 관심이 몰리는 이유 CaC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요즘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인프라 운영 자동화를 코드 기반으로 하는 방법론과 관련 도구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기업 컴퓨팅 환경이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전에 비해 관리 복잡성이 높아지다 보니 자동화가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를 실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코드로 인프라를 제어하는 CaC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자동화의 열쇠 - Red Hat Ansible Automation Platform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는 엔터프라이즈 컴퓨팅의 새로운 기준입니다. 대다수 엔터프라이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해 레거시와 중요 업무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환경을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loud Service Provider, CSP)의 퍼블릭 클라우드와 연계하여 더 유연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컴퓨팅 인프라와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향으로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를 위한 자동화 IT 운영에 있어 자동화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시스템 환경은 더 커지고 복잡해지고 있고 엔터프라이즈 컴퓨팅의 경계는 사내를 넘어 퍼블릭 클라우드와 엣지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관리 대상과 범위의 확장에 대응하려면 자동화가 필수입.. 하이브리드 멀티 환경에서의 SAP 관리 방안 SAP 환경은 엔터프라이즈 컴퓨팅의 심장과 같습니다. 그렇다면 SAP 워크로드를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시대에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아무래도 온프레미스 환경과 비교하면 더 복잡하고, 가시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원하는 위치에서 SAP 워크로드를 운영할 수 있는 클라우드의 유연성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확실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죠. 시스템 업데이트, 취약점 모니터링 등 일상적인 관리 작업을 마치 온프레미스에서 하듯이 직관적이고 일관성 있게 하는 방법의 하나로 많은 이들이 주목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Red Hat Smart Management for SAP’입니다. 한글로 풀어 보면 SAP 인증을 받은 Red Hat Smart Management라고 부를 수 있겠네요. SAP 운영에 있어 클라우.. Ansible Automation Platform 2 출시 최근 AnsibleFest 2021 행사가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에서 중요한 소식 하나가 발표되었는데요, 바로 Ansible Automation Platform 2 출시입니다. 주요 개선 사항은 자동화를 더 유연하고 신속하게 확장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제 기업은 규모의 제약 없이 온프레미스부터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까지 자동화를 더 간편히 구현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향하는 자동화 기술의 진화 Ansible Automation Platform 2는 엔터프라이즈의 컴퓨팅 환경이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환경으로 복잡하게 발전하는 것을 고려해 설계되었습니다. 사내망부터 엣지 네트워크, 클라우드 환경까지 자동화 대상을 확장하는 것이 이전보다 수월해질 것이라 하네요. Ansibl.. Ansible을 활용한 네트워크 자동화 네트워크 엔지니어들은 요즘 고민이 많습니다. 장비 설정과 유지보수 중심으로 역량을 쌓아왔는데, 최근 네트워크 환경은 고도로 추상화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 환경으로 빠르게 트렌드가 이동 중이죠. 그러다 보니 앞으로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갖추어야 할 소양으로 코딩의 중요성이 커질 전망입니다. 코딩을 알아야 네트워크 엔지니어다? 여기서 말하는 코딩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발자 수준을 뜻하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인프라를 CLI 명령을 넘어 이제는 코드를 통해 기능을 배포하고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지금까지 해온 방식이 한 번에 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물리적 네트워크 장치, SDN(Software defined network), 클라우드 네트워크가 공존할 것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