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hel

(26)
MS SQL on Linux가 뜨는 이유 3가지 MS SQL on Linux가 뜨는 이유 3가지 지난 포스팅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 SQL 서버(이하 MS SQL Server)를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이하 RHEL)에서 운영하는 것에 관해 이야기를 풀어가 보겠습니다. 이번 주제는 ‘왜’입니다. 윈도우 서버가 아닌 RHEL 상에서 MS SQL Server를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3가지 측면에서 그 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클라우드 시대에 맞는 유연성 기업의 컴퓨팅 환경은 이제 온프레미스 하나만 있지 않습니다. 하이브리드, 퍼블릭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등 다양한 위치에서 자원과 워크로드를 운영합니다. 배포 조건도 다양합니다. 베어메탈부터 시작해 가상 머신, 컨테이너 등 필요에 맞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배포합니다. 다양성 증가는 유연성 없이는 ..
SQL Server on Linux 신박한 조합! 마이크로소프트SQL Server를 어떤 운영체제에서 운영하세요? 좀 이상한 질문이라 느껴지나요? 대부분 마이크로소프트 SQL Server (이하 MS SQL Server)는 당연히 윈도우 서버에서 쓰는 거 아닌가? 2020년 최신 기술 유행에 민감한 분이 아니라면 당연히 떠올리는 답변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트렌드에 민감하다면 아마 레드햇을 떠올릴 것입니다. 리눅스와 컨테이너를 중심으로 애플리케이션 운영 기반을 현대화하고 있는 조직의 경우 관리의 일관성 측면에서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이하 RHEL)에서 SQL Server를 운영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합니다. 이외에도 고가용성 보장, 성능 최적화, 보안 강화 측면에서도 RHEL에서 MS SQL Server를 운영하는 것이 갖는 이점이 크다 보니 요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