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DB (7) 썸네일형 리스트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EDB Postgres AI로 AI 혁신을 앞당기는 방법 어느 조직이나 AI 프로젝트는 우선순위 높은 과제입니다. 이처럼 중요하지만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끄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프로젝트 성과를 기대 이하로 낮출 수 있는 위험들이 곳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중 프로젝트 성패를 가르는 요소로 인프라와 데이터를 꼽습니다. AI 모델은 방대한 데이터에 접근해야 하고, 인프라는 예측하기 어려운 작업량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해야 하며, 이 모든 과정에서 엄격한 보안 및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온프레미스에만 AI 전용 GPU 기반 컴퓨팅 인프라와 통합 데이터 환경을 갖춘 곳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투자 부담부터 운영까지 생각보다 걸림돌이 많습니다. 더불어 최근 모델 경량화 기술을 활용해 엣지 컴퓨팅 환경에 모델을 배포해 추론을 수행하고자 하는 새로운 요구.. MySQL 고가용성 & 복원력 보장을 위한 참조 아키텍처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환경에서 시대가 아무리 바뀌어도 변치 않는 것이 있습니다. 중요 데이터베이스의 무중단 운영의 중요성입니다. 이 요구는 사실 디지털 전환 시대가 되면서 더 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데이터 자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이 영향을 주지 않았나 싶습니다. 관련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MySQL 데이터베이스의 무중단 운영을 위한 참조 아키텍처를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고가용성과 복원력 보장의 의미 참조 아키텍처를 살펴보기에 앞서 고가용성의 개념을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고가용성은 시스템 장애 시에도 지속적인 서비스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보통 서비스 가동률(uptime)로 표현되며, 보통 99.999%(연간 다운타임 5분 이내)를 목표로 합..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의 존재감을 키우는 Postgres의 미래!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의 미래는 밝습니다. 커뮤니티의 왕성한 활동에 기업이 요구하는 안정적인 솔루션 및 지원 제공을 담당하는 EDB 같은 기업의 활동이 시너지를 내면서 변방에서 주류의 위치로 위상을 높이고 있습니다. EDB의 예를 들면 전세계 주요 기업이 오라클을 Postgres Advanced Server(이하 EPAS)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도 교보문고, BC카드 등 주목할만한 사례가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 EPAS를 중심에 놓고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의 미래를 알아볼까 합니다. EPAS의 주요 사례를 보면 기업이 오픈 소스 데데이터베이스를 바라보는 시각을 알 수 있습니다. EPAS를 예로 들자면 기업은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활용 시나리오로 두 가지를 검토합니다. Use Case .. 락플레이스의 Azure Database Service 고객 사례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5.02* 온-프레미스 오픈소스 DB의 클라우드 여정 사례 지난 다섯 편의 포스트를 통해 MySQL, PostGreSQL 등의 오픈소스 DB 제품의 시장 트렌드, 클라우드 도입 기업의 확산, 온-프레미스 오픈소스 DB 사용 기업의 애로 사항과 이를 위한 솔루션으로 떠오른 DaaS (Data as a Service) 그리고 이 영역의 리더로 평가받는 Microsoft Azure Database service (애저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소개해 드렸죠. 다 좋은 이야기지만,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실제 고객 사례를 참고하면 더 확실해지겠죠. 그래서 저희 락플레이스가 지원한, 온-프레미스 오픈소스 DB를 Azure Database Service 환경으로 전환해 성공적으로.. 온-프레미스 오픈 소스 DB 이용 기업의 애로사항은 무엇일까요?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4.10*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오픈소스 DB 운영 플랫폼으로 클라우스를 선택하는 이유를 지난 포스트에서 살펴보았죠. 저희 락플레이스가 뽑은 다섯 가지 동력: 1) 운영 및 관리 효율성 2) 가용성과 장애 복구 3)보안 및 규제 준수 4) 경제성 그리고 5)선택의 다양성이 기업이 클라우드를 운영 플랫폼으로 선택하는 이유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를 달리 생각하면, 현재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MySQL, PostgreSQL, Maria DB 등의 오픈소스 DB를 운영하는 기업들은 이와 반대되는 이슈나 애로 사항을 경험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겠죠.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운영을 하는 기업이 경험하는 주요 이슈는 무엇일까요? 락플레이스가 많은오픈소스 사용 고객을 지원..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사용 기업이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이유는?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3.27* MySQL, PostGreSQL 같은 오픈소스 DB 시장 트렌드를 분석한 지난 포스트에서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들을 공유해 드렸죠. 연 평균 35%를 넘는 오픈소스 DB 제품 성장률, DMBS 분야 강자인 오라클과 마이크로소프트 턱밑까지 근접한 인기도 그리고 운영 환경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을 선택하는 비율이 올해는 약 76%, 내년에는 80%를 넘는다는 IDC 보고서 내용이었죠. 자연스레 이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기업들이 왜 이리 많을까?” 그래서 많은 기업들이 오픈소스 DB 운영 플랫폼으로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이유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비즈니스 속도와 효율성 확보 업무 자동화 및 효율화를 위해 도입되기 시작한 IT 기술은 비즈니스의 핵심 .. OSS DB on Azure: MySQL의 성능은 어디까지? *글 최초 발행일자: 2018.11.01* Open Source DB on Azure 세미나 세션 정리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첫 번째 포스팅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에서 경험하는 MySQL 성능 튜닝’을 주제로 발표한 락플레이스 김근동 이사의 세션입니다. 오픈 소스 DB 대세론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하 오픈 소스 DB)를 클라우드에서 쓰는 것만큼 자연스러운 것이 또 어디 있을까요. 사실 오픈 소스 DB는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가를 것 없이 쾌속 성장 중입니다. 오픈 소스 DB 성장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높아져만 가는 상용 DB의 무자비한 라이선스와 유지보수 계약에 지친 기업이 대안으로 선택할 만큼 성능, 기능, 안정성, 보안성을 보장하기 때문이죠. 실제로 많은 기업이 신규 애..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