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락플레이스

(214)
평판 조회 분야의 페이스북을 꿈꾸는 Credo 360의 Azure Database for PostgreSQL 활용기 *글 최초 발행일자: 2018.03.29* 전도유망한 스타트업 Credo360은 애저(Azure) 골수팬입니다. 사업의 토대이기도 하고 전 세계 2천만 사용자를 목표로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한 발판이기도 합니다. Credo360의 성장 전략의 중심에는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 적극 활용이 깔려있습니다. 관련해 Credo360의 OSS on Azure 전략을 살펴보았습니다. 평판 조회 분야의 '페이스북'을 꿈꾼다! Credo360은 평판 조회 전문 소셜 플랫폼 기업입니다. 평판 조회? 언뜻 다가오지 않죠. 간단히 예를 들자면 우리는 페이스북이나 링크드인 같은 소셜 네트워크, 네이버나 다음 같은 카페, 에어비앤비나 여기어때 같은 O2O 서비스를 일상적으로 쓰면서 글을 올리거나, 추천합니다. 이렇게 여기저기 조금..
[클라우드 도입 사례] 빅 데이터 개발자의 솔직담백한 Linux On Azure 사용기 *글 최초 발행일자: 2018.01.09* 본 포스팅은 호튼웍스 최종욱 개발 이사가 소셜 네트워크에 올린 글을 공유한 것입니다. 애저를 개발 환경으로 쓰고자 하는 개발자에게 좋은 팁이 담겨 있습니다. 서버 프로그램 개발용으로 Linux on Azure에 MacBook으로 접속해서 쓰고 있습니다. 이 환경을 최종적으로 선택할 때까지 많은 요소를 고려했습니다. 다음은 그 자세한 내용입니다. 개인적인 선호로 Azure를 선택했습니다.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 업체를 사용해도 큰 줄기는 비슷할 것입니다. 1. 배터리 원격 근무자답게 여러 장소에서 MacBook으로 작업을 할 수 있기를 원했습니다. 하지만 주로 만드는 프로그램들이 서버용이다 보니 노트북 배터리 용량이 부족한 문제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무용으로..
[락플레이스] 떠오르는 IT 전문 언론사 'GeekWire'가 미디어 플랫폼으로 Azure로 옮긴 이유는? Azure Database for MySQL 때문이라는... 45% 비용 절감은 덤 *글 최초 발행일자: 2017.12.14* GeekWire 요즘 뜨는 IT 언론사 중 하나입니다. 하루 20~30개씩 알짜 뉴스를 쏟아 내고, 굵직한 이벤트도 많이 하면서 영향력이 부쩍 커지고 있죠. 온라인 언론사가 유명해진다는 것은 곧 페이지 방문객이 늘어난다는 소리입니다. 사업이 잘 되니 즐거운 비명이라 할 수 있지만, 운영자는 페이지 뜨는 속도부터 시작해서 접속 불가 상황까지 늘 긴장하게 되죠. 그래서 GeekWire가 자사의 미디어 플랫폼을 애저(Azure)로 옮겼습니다. 워드프레스 기반 뉴스 사이트를 통째로 Azure로 옮기기 GeekWire는 여느 언론사 스타트업이 그렇듯이 워드프레스로 뉴스 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한국도 중소 언론사들은 대부분 워드프레스를 쓰죠. GeekWire는 2011년 ..
소프트웨어 교육 현장을 가다! 케임브리지대학교의 Azure Notebooks 적용기 *글 최초 발행일자: 2017.03.15* 소프트웨어 교육에 오픈 소스 도구를 활용하는 것! 사실 오래전부터 교육 현장에서 오픈 소스 기술을 쓰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조금 달라졌죠. 오픈 소스를 이제는 클라우드로 씁니다. 그 이유는 교습 방법이 이론 중심에서 실무와 실습 쪽으로 바뀌면서 학생들은 커리큘럼에 따라 이런저런 툴을 설치하고 설정하느라 바쁩니다. 이런 수고를 클라우드로 덜어 내 낼 수 있습니다. 컴퓨팅 개론 과정에 Azure Notebooks를 도입한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사례를 한번 보시죠. 커리큘럼 혁신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도구만 바꿔도 케임브리지 대학교처럼 혁신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컴퓨팅 개론 교과목 수강생들이 Azure Notebooks를 쓰게 된 이유 케임브..
장애 발생! 뭐가 문제지? Azure Service Health로 장애 나기 전에 미리미리 사태 파악하자 ~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3.15* 최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지메일 등 굵직한 서비스들 장애가 일어났죠. 다들 무슨 일이냐 싶었을 것입니다. 대형 업체도 장애는 피할 수 없습니다. 클라우드에서 서비스나 시스템을 운영 중 장애가 나면? 누구의 문제인지가 궁금해지죠? 내가 뭘 잘못 설정했나? 아니면 클라우드 사업자 문제인가? 성능 저하나 시스템 다운 같은 장애가 일어나기 전에 미리미리 알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은 없을까? ​ 세상에 찾으면 없는 게 어디 있겠습니까? 네,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를 이용하는 관리자라면 보통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지를 애저 상태 웹 페이지(Azure Status Page)에서 확인할 것입니다. 이 페이지에 가면 마이크로소프트 애..
Azure Stack으로 클라우드 첫 발을 띄기 전에 따져 봐야 할 (4 + 1) 체크 포인트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3.05* 클라우드 전환, 따져봐야 할 게 참 많은 작업입니다. 조직마다 환경이 다르고, 운영 인력의 역량이 천차만별이죠. 거기에 IT 거버넌스, 규제 등 제약을 두어야 할 사항도 많습니다. 이와 함께 살펴야 할 것은 클라우드로 갔을 때 과연 무엇을 얻을 수 있나? 이 질문은 왜 지금 우리가 클라우드로 가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기도 합니다. 이를 명확하게 알아야 명분도 생기고 조직 내 공감도 얻을 수 있습니다. ​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비용을 아끼기 위해... 등 클라우드 전환의 이유가 분명하고 마음이 곧바로 섰다면 다음에 할 일은 실행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천릿길도 한걸음부터라고 했습니다. 너무 욕심을 부려 옛것을 다 버리고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간다? 이런 시나리..
재해복구(DR) 비용 계산기 ~ 일단 비용부터 뽑아 보자 *글 최초 발행일자: 2018.12.20* 클라우드 환경은 온프레미스보다 안정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어떤 일이건 100% 장담은 못 하죠. 만에 하나 있을 지도 모르는 장애 발생 시 시스템과 서비스는 중단되고, 이는 곧 비즈니스 피해로 이어집니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이 할 수 있는 '최선'은 재해복구(DR) 체계를 기반으로 복원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Azure 환경에서 운영하는 시스템 관련 DR 설정은 매우 간편합니다. 그렇다면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사실 이게 중요하죠. 관련해 Azure 환경에서 DR 구성을 했을 때 드는 비용 계산기를 소개합니다. Azure 환경에 올려 운영하는 가상 머신의 경우 Azure Site Recovery(ASR)을 이용해 물리적으로 떨어진 리전에 해당 가상 머..
Azure가 제공하는 든든한 재해복구 옵션 *글 최초 발행일자: 2018.12.20* 최근 IT와 통신 업계를 깜짝 놀라게 한 대형 장애가 일어났죠. 관련해 부랴부랴 재해복구 전략과 계획을 되짚어 보는 곳이 요즘 많습니다. 장애나 재해는 남의 일로 봐서는 안되죠. 관련해 Azure를 쓰는 조직을 위해 애저 가상 머신을 물리적으로 떨어진 다른 리전에 복제하는 간단한 재해복구 방식을 소개합니다. Azure 가용성 영역(Azure Availability Zone)을 들어봤을 것입니다. 애저 리전 내에는 물리적으로 네트워크, 공조, 전력 등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가용성 영역이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장애에서 중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보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센터로 가용성 영역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여러 리전에 걸쳐 중요 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