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전문기업 (38)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에서 운영하는 VM... 이참에 옮겨봐? 나날이 발전하는 Azure Site Recovery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1.10* 락플레이스는 Azure 관련해 고객이 필요한 정보를 가장 빨리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오늘 전할 소식은 온프레미스에서 운영 중인 가상 머신(VM)을 마이그레이션할 때 유용한 Azure Site Recovery(ASR)의 기능 개선에 대한 것입니다. 참고로 ASR은 보통 재해복구 목적으로 쓰이지만, 마이그레이션 도구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마이그레이션 서비스는 멀티 툴처럼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여러 기능을 간편하게 쓸 수 있어야 하죠. ASR을 가만 보면 조그만 맥가이버 칼에서 이제는 제대로 된 멀티 툴 공구로 발전하는 느낌입니다. 최근 ASR의 개선된 기능 몇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택한 기업이라면 이참에 AWS에서만 운영하던 VM을 Azu.. Azure Storage를 위한 든든한 보안 장치 ~ 위협 보호(Advanced Threat Protection) 기능 추가 *글 최초 발행일자: 2018.10.10*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쓸 때마다 '보안'이 조금이라도 걱정되었다면, 이번에 프리뷰 버전으로 소개된 애저 스토리지(Azure Storage)를 위한 위협 보호(Advanced Threat Protection) 기능이 마음에 평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일단 한번 써봐야 할 것 같은 기능이네요. 이번에 소개된 위협 보호 기능은 애저 스토리지 계정의 비이상적인 행위를 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줍니다. 왜 이제야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보통 클라우드 상에 이런저런 시스템을 올리다 보면 스토리지 계정이 많아지게 됩니다. 중앙 집중적으로 잘 관리하는 곳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 개발자가 현업 부서에서 개별적으로 만들어 쓰는 경우는 스토리지 계정을 철저하게 관리하기 어렵습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 구축, 운영 그리고 최적화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6.20*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란 주제의 지난 포스트에서는 우리 회사에 맞는 클라우드 전환을 위해 우선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평가, 설계 작업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공유했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로 클라우드 전환의 후반 단계인 구축, 운영, 최적화 작업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림) 클라우드 전환의 5 단계 3 단계: 구축 작업 구축 작업은 평가와 설계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구체적 마이그레이션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과정입니다. 마이그레이션 계획은 크게 시스템 이전, 각종 설정, 데이터 이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스템 이전은 간단히 말해 서버 운영체제를 옮기는 작업이죠. 이 과정에서 기존 유닉스 환경을 리눅스 기반 가상머신 (Virt..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가이드-평가와 설계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6.13* 많은 기업이 겪고 있는 온-프레미스 오픈소스 DB 운영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면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글을 공유해왔습니다. 락플레이스는 클라우드 서비스, 그 중에도 Microsoft Azure 환경으로의 전환을 우선 권고해 드렸죠. 그래서 이번에는 여러분 회사에 가장 적합한 클라우드 전환 전략을 2회에 걸쳐 정리해 볼까 합니다. 클라우드 전환은 단순히 기존 환경을 클라우드로 옮기는 것이 아닙니다. 인프라,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모든 측면에서 기본 설계 사상과 운영의 방향을 바꾸는 일입니다. 따라서 철저한 사전 평가와 준비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기존 환경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속도, 탄력성, 확장성과 경제성이란 클라우드의 가치를 확보해야 합니다. .. 락플레이스의 Azure Database Service 고객 사례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5.02* 온-프레미스 오픈소스 DB의 클라우드 여정 사례 지난 다섯 편의 포스트를 통해 MySQL, PostGreSQL 등의 오픈소스 DB 제품의 시장 트렌드, 클라우드 도입 기업의 확산, 온-프레미스 오픈소스 DB 사용 기업의 애로 사항과 이를 위한 솔루션으로 떠오른 DaaS (Data as a Service) 그리고 이 영역의 리더로 평가받는 Microsoft Azure Database service (애저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소개해 드렸죠. 다 좋은 이야기지만,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실제 고객 사례를 참고하면 더 확실해지겠죠. 그래서 저희 락플레이스가 지원한, 온-프레미스 오픈소스 DB를 Azure Database Service 환경으로 전환해 성공적으로.. 온-프레미스 오픈 소스 DB 이용 기업의 애로사항은 무엇일까요?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4.10*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오픈소스 DB 운영 플랫폼으로 클라우스를 선택하는 이유를 지난 포스트에서 살펴보았죠. 저희 락플레이스가 뽑은 다섯 가지 동력: 1) 운영 및 관리 효율성 2) 가용성과 장애 복구 3)보안 및 규제 준수 4) 경제성 그리고 5)선택의 다양성이 기업이 클라우드를 운영 플랫폼으로 선택하는 이유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를 달리 생각하면, 현재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MySQL, PostgreSQL, Maria DB 등의 오픈소스 DB를 운영하는 기업들은 이와 반대되는 이슈나 애로 사항을 경험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겠죠.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운영을 하는 기업이 경험하는 주요 이슈는 무엇일까요? 락플레이스가 많은오픈소스 사용 고객을 지원.. 클라우드에 올린 MariaDB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 제어 방법 하나 - VNet 서비스 엔드 포인트 활용하기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3.05* 데이터베이스는 위치가 어디건 철저한 접근 제어를 해야 하는 중요 시스템입니다.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모든 환경에 대한 철저한 접근 제어와 권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데이터 유출 등의 사고를 막을 수 있죠. 관련해 오늘 포스팅에서는 Azure Database for MariaDB로 인터넷 연결을 통해 접근하지 못하게 격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애저가 제공하는 VNet 서비스 엔드포인트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만든 가상 네트워크 내의 서브넷 환경에서만 Azure Database for MariaDB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베이스 트래픽이 애저 네트워크 내에서만 일어납니다. 이를 도시화하면 다음과 같이 그릴 수 있습니다. 이해가 쉽게.. Azure Database for PostgreSQL 성능 개선 팁 - 커넥션 풀링 사용하기 *글 최초 발행일자: 2019.02.11* 오픈 소스를 Azure에서 잘 활용하는 것, 참으로 중요한 일이죠. 관련해 Azure Database for PostgreSQL 성능 개선 팁을 하나 소개합니다. 서버 자원 측면에서 볼 때 PostgreSQL의 커넥션 맺기는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입니다. 새로운 커넥션 연결을 위해 메모리 할당이 필요하기 때문인데요, 이런 이유로 트랜잭션 처리가 잦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연결 지연(latency)과 데이터베이스 쓰루풋 성능 저하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곧 사용자가 느끼는 애플리케이션 체감 성능이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지죠.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트랜잭션 처리가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커넥션 풀링(Connection Poolin..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