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97)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비스 메시 플랫폼이 필요하다면?Wish List에 넣어야 할 아이템 ‘OpenShift Service Mesh’! API는 레거시 현대화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단히 살펴 보자면 먼저 레거시 현대화의 경우 API를 통해 레거시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캡슐화하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레거시 시스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현대적이고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API를 사용하면 전체 시스템을 처음부터 다시 작성하지 않고도 레거시 시스템의 일부를 새로운 마이크로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점진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점진적인 현대화 접근 방식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MSA 환경에서 API는 서비스 간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며, 서비스 간 상호 작용을 위해 잘 정의된 계약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MySQL을 사용 중이라면? Dynatrace를 활용한 MySQL 모니터링을 추천합니다! MySQL은 유연성, 성능, 사용 편의성으로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 MySQL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OLTP),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로그 및 이벤트 데이터 저장 등 다양한 용도로 쓰입니다. MySQL은 온프레미스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모두에서 제 몫을 톡톡히 하고 있죠.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쓰기도 편합니다. Amazon RDS for MySQL, Google Cloud SQL for MySQL 또는 Azure Database for MySQL과 같은 클라우드 기반 MySQL 인스턴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에게 주어진 선택지 MySQL을 모니터링하고 성능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관련해 요즘 커지는 .. '모니터링 vs. 관찰 가능성' 여러분의 선택은? 기업의 컴퓨팅 환경이 바뀌면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전환과 함께 등장한 개념인 옵저버빌리티(Observability)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옵저버빌리티의 사전적 의미는 ‘관찰할 수 있음, 식별 가능성’입니다. IT 운영에 맞게 해석하면 통합 가시성 정도로 풀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모니터링과 옵저버빌리티의 차이는? 옵저버빌리티가 유행어가 되기 전 IT 운영자들의 머릿속에는 한 가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늘 하는 모니터링 작업과 무슨 차이일까? 언뜻 보면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상세히 비교해 보면 모니터링과 옵저버빌리티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과 옵저버빌리티는 목표와 접근 방식이 많이 다릅니다. 모니터링은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 MySQL Enterprise Security 4의 강화된 인증 기능 데이터베이스는 그 어떤 시스템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됩니다.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MySQL Enterprise 에디션은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강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MySQL Enterprise Security 4가 제공하는 주요 보안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l MySQL Enterprise Authentication: MySQL 계정 정보를 외부 IdP(Identity Provider)에 연결하고 SSO(Single Sign-On) 및 다중 인증(MFA) 같은 고급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l MySQL Enterprise Encryption: 데이터 보호를 위해 데이터 파일과 통신 채널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l MySQL Enterprise Firewall: 대규모 공격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CI/CD 구현을 고민 중이라면?Red Hat OpenShift GitOps + Red Hat OpenShift Pipeline 조합 추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이하 CI/CD) 기반의 DevOps 파이프라인 구축은 모두의 관심사입니다. 여러 도구와 방법론이 시장에 나와 있는데요, 이중 지난 몇 년간 꾸준한 사랑을 받은 것이 있습니다. 바로 GitOps입니다. GitOps는 DevOps를 실행하는 방법의 하나입니다. GitOps를 적용하면 코드를 이용해 인프라 프로비져닝과 관리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운영을 DevOps 체제 아래에서 할 수 있습니다. GitOps 구현의 지름길 GitOps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 DevOps를 구현하려면 소스 코드 저장소, GitOps 리포지토리,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등 고려할 것이 많습니다. 이를 좀 더 쉽게 접근할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Red Hat Ope.. MySQL Case Study - 가드미 국제 보험(Guard.me Intetnational Insurance) 사례 가드미 국제 보험(Guard.me Intetnational Insurance) 캐나다 및 유럽의 개인정보보호 규제 준수를 위해 MySQL Enterprise Edition으로 전환 가드미 국제 보험은 캐나다와 유럽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건강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가드미는 보험 신청, 클레임 제출, 병원 찾기 등 편리하고 신속한 서비스로 국제 학생 보험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가드미 국제 보험의 주요 서비스는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이중 가장 중요한 시스템은 GMIS(Guard Me Information System)입니다. 여기에는 고객의 중요 정보가 다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고성능, 고가용성, 보안성 등 챙겨야 할 것이 많습니다. 원래 가드미 .. BC카드 , 마이데이터 사업을 계기로 오라클을 EDB Postgres Advanced Server로 전환 ! 금융 업계가 마이데이터 사업을 시작으로 API 경제 체제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금융사 간의 경쟁의 개별 기업에서 API 생태계로 초점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요한 마이데이터 사업을 벤더 종속 걱정 없는 오픈 소스 기술 도입의 기회로 삼은 사례를 하나 소개합니다. 주인공은 BC카드입니다. 오픈 소스와 클라우드 우선 전략! BC카드는 마이데이터 사업을 기회로 일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EDB Postgres Advanced Serer, 이하 EPAS)로 전환하였습니다. BC카드의 마이데이터 사업을 초반부터 IT 전문가들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그 이유는 마이데이터 비즈니스를 위한 IT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구현해 제공하여 민첩성과 유연성을 확보한다고 선언하였기.. 카카오뱅크가오라클에서 EDB의 Postgres Advanced Server(EPAS)로 전환한 이유 카카오뱅크는 인터넷 전문 은행으로 디지털 뱅킹 시대를 이끄는 리더입니다. 카카오뱅크는 설립 때부터 ‘디지털’을 가장 중요한 전략이자 차별점으로 삼았습니다. 모바일 앱을 통해 인터넷 뱅킹이나 창구 대면 거래와 비교할 수 없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의 역량을 뱅킹 부문에서 발휘하고 있는 카카오뱅크가 최근 큰 결심을 행동에 옮겨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바로 핵심 업무의 데이터베이스로 운영하던 오라클 DB를 오픈 소스인 EDB의 Postgres Advanced Server(EPAS)로 전환하겠다는 결심입니다. 카카오뱅크는 기존 운영 중이던 오라클 DB 마이그레이션과 함께 신규 서비스를 위한 DB로 EPAS를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오라클 DB 마이그레이션 결정 카카오뱅크가 DB 전환..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